오늘은 국민주택 민영주택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마 이 용어를 찾아보신다면 분명 아파트 청약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신 분일텐데요. 저 또한 청약만 하면 그냥 어떤 아파트든지 청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았습니다.
하지만 주택종류에 따라서 청약을 준비하는 전략도 달라져야 하는데요, 그 시작이 바로 내집마련을 원하는 주택이 국민주택인지 민영주택인지 아는 겁니다. 여러분들도 국민주택 민영주택 차이를 보시고 거기에 맞게 청약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용어를 큰틀에서 살펴보면 주택청약제도에서 주택의 종류에는 국민주택, 민영주택으로 나뉘어지고, 공급방식이 분양이냐 임대냐로 나뉘어 지는 겁니다.
국민주택은 위와 같이 국가, 지자체, LH 등에서 공공기금으로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그 외의 민간에서 짓는 것은 민영주택이 되는 겁니다. 즉 공공과 민간의 차이가 바로 국민주택 민영주택 차이 입니다.
분양주택에서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위의 안내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은 국민주택 민영주택을 가리지 않고 주택청약종합저축만 있으면 모두 청약이 가능합니다.
위의 표는 임대방식입니다. 사실 임대주택은 거의 국민주택인데요, 최근 뉴스테이는 민간자본으로 건설하는 아파트이기 때문에 민간임대주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국민주택 민영주택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증권 cma 혜택 살펴보기 (0) | 2017.06.30 |
---|---|
민영주택 청약 방법 알아보기 (0) | 2017.06.27 |
월급계산기 위치 및 이용방법 (0) | 2017.06.15 |
현대백화점 상품권 구매 방법 안내 (0) | 2017.06.08 |
법원경매물건조회 네이버로 더 쉽게 하기 (0) | 2017.05.31 |